개요
농업재해보험을 가입해야하는 이유!
이상기후,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농작물 및 가축(축사) 피해 시 보험을 통해 그 피해를
보전받음으로써 농가의 소득 및 경영안정에 보탬이 되기 위함입니다.
정부는 농가의 보험가입 활성화 및 부담경감을 위해 보험료 및 운영비의 일부 또는
전부를 지원합니다.
농작물재해보험- 순보험료 40~60%, 운영비 100%
가축재해보험- 영업보험료(순보험료, 운영비)의 50%
자연재해에 대비, 농가에 실질적
소득 보장 및 경영안정장치로서
농업재해보험제도 도입
가축재해보험은 '97년부터, 농작물재해보험은 '01년부터 운영하고
있으며, 대상 품목(축종) 및 보장범위를
지속적으로 확대 중
농업재해보험의 공적기능 강화를 위해 사업관리 전담체계 구축('15~)
사업관리감독, 상품연구 및 손해평가사 자격제도 운용 등 공적 기능 수행을 위해 사업관리 전담기관 체제 구축 및 역할 강화
* 참고 : 농업재해보험 사업 현황
구분 | 농작물재해보험 | 가축재해보험 | |
---|---|---|---|
근거법령 | 농어업재해보험법 | ||
도입년도 | 2001 | 1997 | |
대상품목('22) | 사과, 배, 벼 등 총 67개 | 소, 돼지, 닭 등 총 16개 | |
보상재해 | 종합위험 보장방식 |
자연재해·조수해·화재 등 | - |
특정위험 보장방식 |
태풍(강풍)·우박·화재·폭염·냉해 등 |
(주계약) 풍해, 수해, 설해, 질병, 화재, 폭염(가금) (특약) 축사(풍해, 수해, 화재), 전기장치 위험, 폭염(돼지) |
|
보장수준 | 가입금액의 60~90% 보장 | 시가의 60%~100% 수준 | |
국고지원 | 보험료 40∼60%, 운영비 100% | 보험료 50%, 운영비 50% | |
예산(‘22년: 6,454억 원) | 5,332억 원(수입보장보험 예산 포함) | 1,122억 원 | |
보험사업자(`22) | 농협손해보험 | 농협손해보험, KB손해보험, DB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, 현대해상 |